공간계획 요소
공간은 크게 벽, 천장, 바닥의 기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는 컨셉의 용도에 맞게 기
본 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동선과 함께 효율성 있는 계획 과정을 거쳐 기획된다. 그 외
파사드, 사인, 차양, 배너 등의 외부 공간의 요소들도 공간계획에 포함된다.
동선 계획
특정 공간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사람의 흐름을 선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많은 고객들이
상품을 감상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다. 이동하는 방향은 편리하고 즐겁고
안전해야 하며 동선 계획은 이동의 흐름이 원활하여 혼잡하지 않도록 계획하고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시 디스플레이 프로세스
섬유공예 상품의 특성을 파악하며 누구를 위해 언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고객에게 알릴
것인가 하는 전반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일의 과정에 따라 준비하며 진행하여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계획
고객에게 무엇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하는 부분으로 고객을 철저해 분석하여 테마를 설
정한다.
2. 이미지 맵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여러 자료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준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3. 아이디어 스케치
디자인의 요소나 모티브가 되는 것들을 여러 방법으로 표현해보는 과정이다.
4. 시안 작업
컴퓨터 그래픽 작업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다.
5. 집기 및 소품 제작
시안에 따라 전시장에서 사용할 집기나 소품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6. 전시장 현장 연출
집기류와 소품들을 이용하여 시안에 따라 전시장을 연출하여 최대의 효과를 만들어 고객들
에게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고 브랜드의 인식을 높여 매출 증대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수행 내용 / 전시 공간 기획하기
공간계획의 기본 요소가 무엇이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한다.
1. 내부공간의 기본 요소들을 파악하고 정리한다.
2. 외부공간의 기본 요소들을 파악하고 정리한다.
3. 전시공간의 시각적 자료를 통해 이해를 돕는다.
전시 공간 답사를 통해 어떤 기본 요소들로 공간이 구성되었는지 분석한다.
분석한 내용들은 발표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한다.
전시공간의 동선 계획의 필요성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동선 계획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섬유공예 제품의 전시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를 기획 실습한다.
1. 섬유공예 제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2. 전시 기획을 위해 판매 상품에 대한 컨셉과 테마를 설정한다.
3. 주제를 연상시키는 컬러, 라이프 스타일, 구매 경향 등의 여러 이미지 장면을 맵핑
작업하며 스타일을 구축한다.
4.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자인 모티브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모색하
고 현장 상황을 파악하며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재료나 자재를 확인하며 작업한다.
5. 이미지 맵과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나온 디자인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체화하
는 시안 작업을 한다.
6. 시안 작업은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검증받고 수정·보완한다.
7. 시안에서 결정된 디자인에 따라 현장 연출을 한다.
8. 상품 연출을 위해 소도구 및 소품을 활용한다.
9. 시안 작업에 가까운 결과물이 나올 수 있도록 현장 연출을 한다.
10. 디스플레이 디자인 프로세스 현장 실습 결과물을 평가하며 문제점이나 수정 사항
을 분석한다.
-시안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포토샵
과 일러스트 프로그램의 숙지가 필요하다. 컴퓨터
활용이 미숙할 때는 보드 작업으로 대체한다.
'공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공예 - 절단 도구를 이용한 금속 자르기 (0) | 2022.04.13 |
---|---|
금속공예 - 줄의 종류와 활용 (0) | 2022.04.12 |
섬유공예 - 전시하기 (0) | 2022.04.11 |
섬유공예 - 품질관리 이해 (0) | 2022.04.11 |
섬유공예 - 물류관리와 배송 (0) | 202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