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공예 관련 63

편물작업 - 편물의 재료(실의 종류)

 실의 종류 실이란 방사, 방적 공정을 거쳐 섬유를 길게 늘여 놓은 연속체이며 편물 또는 직물로 만들어 사용된다. 1. 일반사 (1) 원료에 따른 분류 (가) 모사 · 흡습성이 크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보온성이 좋다. · 천연섬유 중 강도가 제일 약하며 세탁 시 줄어드는 성질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 종류에는 캐시미어, 모헤어, 알파카, 앙고라 등이 있다. (나) 면사 · 면사는 목화씨로부터 얻은 솜으로 만든 섬유로 인도가 발상지이다. · 흡습성, 흡수성이 좋고 내열성과 내일광성이 강하다. · 구김이 쉽고 탄성 회복률이 낮아 수축되기 쉽다. (다) 견사 ·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섬유이다. · 촉감이 부드럽고 탄성 회복률이 양모 다음으로 우수하고 보온성이 좋다. ·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면 누렇게 색상이 변..

공예 관련 2022.03.26

직물작업 - 여러 가지 수직 기법

 다양한 종류의 수직 기법 1. 가로선 짜는 방법 왼쪽 끝에서부터 오른쪽 끝까지 실을 바꾸어가면서 가로로 짜면 완성했을 때 가로 줄무늬 형태의 직물을 얻게 된다. 2. 슬리트(slit) 방법 슬리트는 왼쪽과 오른쪽의 각각 다른 실을 왕복하여 짜면서 실과 실 사이에 생긴 긴 틈새 를 말한다. 슬리트가 길게 나타났을 때에는 직조를 마친 후 바늘로 엮어 붙여야 한다. 그 러나 의도적인 기하학 패턴을 만들 때 짧은 간격으로 슬리트가 생겼을 경우에는 틈새가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일부러 엮을 필요는 없다. 3. 기둥 쌓기 방법 다른 두 가지의 위사를 교대로 색상을 바꿔가면서 짜는 기법으로 굵은 세로 줄무늬를 만 드는 데 응용하면 용이한 기법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가장자리를 색상에 따라 서로 엇갈려서 올..

공예 관련 2022.03.26

직물작업 - 수직기의 용구와 재료

 수직기의 용구와 재료 수직기법은 다양한 실로 그림이나 무늬를 나타내는 직물로 카페트, 벽걸이 등 장식용으로 많이 활용된다. 1. 사각 나무틀 2. 경사 일반적으로 면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용도에 따라 마사나 모사도 사용한다. 다른 재질의 경사를 사용하면 기법이 같다 할지라도 다른 느낌의 직물을 제직할 수 있다. 3. 수직 전문용 빗 위사를 내려주는 역할을 한다. 4. 종이스틱 직조를 시작할 때 쓰는 것으로 처음 위사가 들어가기 전에 사용하면 편리하다. 수행 내용 / 수직기에 디자인옮기기  수직할 준비를 한다. 1. 프레임에 경사 거는 방법을 익힌다. (1) 수직기에는 위아래 못이 있다. 아래 시작하는 못에 경사를 묶는다. (2) 경사를 수직으로 올린다. (3) 윗부분 틀에서 아래 시작하는 못에서 ..

공예 관련 2022.03.26

직물작업 - 여러 가지 직물 짜기 (조직도 읽기)

 조직도 읽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하는 직물을 설계하여 직조하기도 하지만 복잡한 패턴일수록 직 기로 짤 수 있는 패턴 북을 응용하여 직물을 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패턴 북에 표기되어 있는 조직도를 읽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패턴 북에는 간결 한 부호를 사용하여 종광 바늘을 끼우는 순서와 페달을 작동하는 순서를 표기해놓고 그 조직도를 통한 완성된 직물의 사진도 함께 선보이고 있어 원하는 패턴을 손쉽게 찾고 응 용해볼 수 있다. 1. 종광 바늘 끼우는 순서 가장 먼저 종광 바늘에 경사를 끼우는 순서는 패턴 북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데 도표의 오 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읽어 나가고 가장 윗부분이 4종광을 기준으로 했을 때 4번째 종 광이 되고 4→3→2→1의 순서로 한다. 2. 페달 누르는 순서..

공예 관련 2022.03.25

직물작업 - 직기의 종류와 용구

 직기의 종류와 용구 1. 직기의 종류 직기는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것부터 복잡한 것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직물을 짜는 가장 기본적이며 널리 사용되는 직기는 탁상용 직기와 마루용 직기가 있다. (1) 탁상용 직기 탁상용 직기와 마루용 직기의 원리는 같다. 다만 탁상용 직기는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로 조작하는 페달 대신 손잡이(lever)로 종광을 위 또는 아 래로 움직여 경사를 들어올리는 방식이다. 크기는 대개 폭 40~60cm 정도이며 샘플 작업이나 다양한 패턴을 실습하기에 적당한 직기이다. (2) 마루용 직기 마루용 직기는 탁상용보다 큰 직기로 스탠드형 직기라고도 한다. 페달을 사용하여 종 광을 위 또는 아래로 들어올리는 형태로 탁상용 직기보다 많은 종광을 갖고 있어 훨 씬..

공예 관련 2022.03.25

직물작업 - 변화조직 직물설계

 변화조직의 정의 변화조직이란 평직, 능직, 수자직을 변형하여 직물을 설계한 것으로 기본조직보다 다양한 질감을 표현하는 데 용이하기 때문에 기본 조직도보다 활용도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1. 바스켓 조직 바스켓 조직은 평직의 변화조직으로 경사와 위사를 2올 이상 엮어 만든 조직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구김이 덜 가는 조직이다. 2. 리브 조직 리브 조직은 평직의 변화조직으로, 이랑직 또는 두둑직이라고도 하며 가로와 세로 방향으 로 조직상의 줄무늬 효과를 만든다. 이랑직에는 경이랑직과 위이랑직이 있는데, 경이랑직 은 한 올의 경사가 여러 올의 위사와 교차된 것으로 이랑이 가로 방향으로 향하며 세로 줄무늬가 나타나게 된다. 반면 위이랑직은 한 올의 위사가 여러 올의 경사와 교차된 것으로 이랑이 세로 방향으로..

공예 관련 2022.03.25

직물작업 - 기본조직 직물설계

 직물 설계하기 1. 직물 설계의 정의 직물은 경사(warp)와 위사(weft)가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짜여 만들어진 천을 말한다. 직 물을 제직할 때 직기 위에 먼저 나란히 배열한 실을 경사(warp)라고 하고, 경사 위에 직 각으로 교차하는 실을 위사(weft)라고 부른다. 직물의 조직은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되 는 것을 표시하여 조직도로 나타낸다. 이러한 조직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직물 설계를 해 야 하는데, 직물 설계는 직물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서 직물의 질감 과 강도, 두께 등 외관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같은 종류의 실을 사용하더라도 경 사(warp)와 위사(weft)가 교차되는 방법에 따라 직물의 외관은 달라지며 광택, 강도, 촉 감 또한 달라지게 된다. 2. 직물..

공예 관련 2022.03.25

직물작업 - 실 걸기 (정경하기)

 정경하기 정경이란 정경대를 사용하여 필요한 경사의 길이와 줄 수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정경대는 대 개 나무로 되어 있는데 사각형의 나무틀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무봉을 세워 경사를 지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경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실을 당기는 힘이 일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 실을 당기는 힘이 다르면 정경대에서 경사를 분리했을 때 각 줄마다 경사의 길이가 달라져 원하는 크기의 직물을 만들 수 없다. 그리고 각 경사마다 힘을 당기는 정도가 달라져 직물 의 수평과 수직을 맞추기 어렵다.  직기에 실 걸기 정경의 과정을 통해서 실을 준비했으면, 직기에 정경한 실을 걸어 직물을 짜기 위한 준비를 마무리해야 한다. 직기에 실을 걸 때에는 두 사람씩 짝을 지어 서로 반대 방향에서 경사를 ..

공예 관련 2022.03.25

직물작업 - 실의 양 계산

 실의 양 계산하기 수직기에서 원하는 크기의 직물을 제직하려면 필요한 실의 양을 계산해야 한다. 1. 경사의 계산 직기에 걸 필요한 경사 1줄의 길이를 정경이라고 하고 이것을 계산하여 원하는 직물의 사이즈에 맞게 실을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경의 길이는 원하는 길이에 여유분과 수축분의 합이라고 할 수 있다. 여유분은 직기의 앞쪽과 뒤쪽에 봉을 연결할 때 필요한 실의 길이 10~20cm와 바디를 끝까지 움직일 때 필요한 길이 68~80cm를 말한다. 또한 직물이 완성된 후 세탁 시 수축되는 것을 감안한 양까지 계산하면 전체 정경의 여유분이 된다. 정경 길이 = 원하는 길이 + 여유분 + 축소분(원하는 길이의 10%) 2. 정경 총 줄 수 계산 정경 시 경사의 줄 수를 결정하는 것은 바디밀도와 밀접..

공예 관련 2022.03.25

직물작업 - 실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이해

 실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이해 실의 종류는 크게 일반사, 장식사, 특수사, 가공사로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 직조에서는 일반사와 장식사를 많이 사용한다. 1. 일반사 일반사는 모사, 마사, 면사, 나일론사 등이 있다. (1) 모사 · 모사는 동물의 털로부터 만든 섬유이다. · 모사는 흡습성이 크고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좋다. · 천연섬유 중 강도가 제일 약하며 세탁 시 줄어드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종류에는 캐시미어, 모헤어, 알파카, 앙고라 등이 있다. (2) 면사 · 면사는 목화씨로부터 얻은 솜으로 만든 섬유이다. · 흡습성, 흡수성이 좋고 내열성과 내일광성이 강하다. · 구김이 쉽고 탄성 회복률이 낮아 수축되기 쉽다. (3) 견사 ·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섬유이다. · 촉감이 부..

공예 관련 2022.03.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