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 공예 관련

백자의 종류와 특징

킨시 2022. 6. 16. 08:26
728x90
반응형
SMALL

 백자의 종류
1. 순백자
순백자는 유약 이외에 다른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장식이 없는 순수한 백색의 자기이다.
보통 장식이 없으나 음각, 양각, 투각 등으로 장식이 된 것도 일부 있다. 순백자는 조선
백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접이나 접시류로 만들었다. 실용 위주의 순백자는 조선 건
국과 함께 제작되어 조선 전 시대의 도자 문화를 나타내었다.
2. 상감백자
고려 초기의 백자 중에서 상감백자는 상감청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려 도예의 전통기
법들이 남겨진 백자이다. 백자 표면에 문양을 음각한 후 다른 흙으로 메워 넣고 매끄럽
게 다듬어 유약을 바른 것으로 상감백자는 15세기에서만 제작되었다.
3. 청화백자
청화백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를 사용하여 푸른색
의 문양을 그렸다. 아라비아 상인을 통해 페르시아의 코발트안료가 중국에 들어왔고 이
를 다시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이 안료는 회청 혹은 회회청이라고 불렸으며 중국에서도

귀한 안료였다. 이 때문에 조선 백자에서 청화백자의 생산량은 높지 않았고 정책적으로
도 규제하여 궁중 화가들이 그리는 경우가 많았다. 17세기에는 청화백자의 안료를 구하
기가 어려워서 제작이 중단되었다가 18세기 이후부터 옅은 안료의 색으로 여백의 미가
특징인 청화백자가 출현하였고 동식물의 연적 등 청화 문양을 사용한 문방구류를 제작
이 활발하였다.
4. 철화백자
철화백자는 철사 안료로 백자 표면에 문양을 그린 백자이다. 문양의 색은 갈색 또는 흑
갈색을 띤다. 철화백자는 조선시대 전반적으로 제작되었으나 17세기 이후 철화백자의 생
산량이 증가하여 유행하였다. 접시, 항아리, 병, 대접, 제기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였다.
5. 진사백자
진사는 구리(銅)을 주성분으로 하는 안료로 문양을 그리는 고려청자에서 세계 처음으로
개발한 장식 기술인데 백자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다가 18세기 이후에 나타났으며 구
리의 발색으로 고온에서 구워지면서 안료가 퍼져 원래의 팥죽색 외에도 녹색, 갈색조가
보이기도 하였다.
 백자의 특징
백자는 백토로 그릇 형태를 만들고 표면에 여러 장식을 한 뒤 투명한 백색 유약을
씌워 구워낸 도자기다. 조선 초기는 고려의 도예기술의 영향을 받아 청자나 분청사
기가 생산되었으나 백자는 주로 붓을 이용하여 문양을 표현하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고려청자의 장식과 같이 상감기법이 크게 활용되지 않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고려는 불교국가로 푸른빛의 청자가 중심인 반면 유교사회 중심의 조선은 백자가
중심 이였다. 조선의 통치규범인 오례(五禮)가 여러 종류의 백자에 쓰였으며 경기도
광주에 정부에서 관할하는 가마(관요)가 활성화되면서 백자는 활발히 제작되었다.
상공업 발달의 사회분위기와 함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으며 여러 계층에 보급이
되었다. 백자의 색은 15세기경의 우유빛 같은 유백색에서 16세기경 겨울 눈 같은 설
백색을 거쳐 17세기의 회백색, 18~19세기경은 푸른빛이 도는 청백색으로 변하였다.

 

수행 내용 / 백자의 종류와 특징 이해하기

 

 

 백자의 자료수집과 형태에 따른 기능적인 특성을 이해한다.

 

1. 역사적 자료수집을 통해 백자의 종류와 시대적 발달, 형태적 연관성을 알아본다.

 

2. 백자의 디자인과 기능을 알아보고 현재 사용되는 백자의 종류를 알아본다.

 

 

 

 현대적으로 해석한 백자의 디자인에 따른 기능과 형태와 문양의 종류를 알아본다.

 

1. 백자 점토의 특징을 이해하고 재료에 따른 성형방법과 사용 목적에 맞게 디자인한다.

 

2. 백자의 성형방법을 숙지 후 기능에 맞는 디자인을 도안하고 형태와 사용 목적에 적합
한지 점검한다.

 

3. 실물 제작에 사용할 장식과 문양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백자의 특성과 형태에 따른 사용 목적을 자료 조사
한다.

 

- 도자 관련 작품집과 문양집 등을 참고하며 형태의
기능과 목적을 알아본다.

728x90
반응형
LIST

'도자 공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자의 장식 디자인  (0) 2022.06.18
백자 문양과 회화의 특징  (0) 2022.06.17
분청사기의 화장토와 장식 디자인  (0) 2022.06.15
분청사기의 종류와 특징  (0) 2022.06.14
청자의 장식 디자인  (0)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