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도자 공예 관련 40

분청사기의 종류와 특징

 분청사기의 특징 조선의 새로운 도자기라고 할 수 있는 분청사기는 기존의 사상이 아닌 유교를 이념으로 새로운 나라를 건국한 15세기 조선에서 절정으로 발달하였던 도자기이다. 이는 조선의 관 용도자기로 자리 잡게 된다. 분청사기는 조선시대 초기에 관용기로 쓰였기 때문에 그 가 운데는 관청의 공납품(관청에 납품)임을 밝혀주는 관사명이 새겨진 것이 많아서 당시의 역 사를 설명해 주기도 하였다. 분청자는 14세기 후반 고려청자의 뒤를 이어 시작되었으며 국가의 탄생과 함께 근검한 생 활을 지향하는 새로운 사상을 지닌 유학자들의 요구에 따라 금속기나 청자보다 그 생산비 가 저렴한 분청사기가 나타나게 되며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약 200년간 생산되었다. 15 세기에는 다양하게 발전하여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이며 ..

청자의 장식 디자인

 청자의 장식 디자인 1. 상감기법 상감기법은 문양을 음각한 후 그 틈에 백토나 산화철이 많이 함유된 붉은 토를 메우는 기법으로 매우 세련된 고급 기법이다. 중국의 상감기법이 있기는 하였으나 고려시대의 상감기법은 더욱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무늬로 발전하였다. (1) 백상감 백토는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거치면서 하얀색으로 나타나게 된다. 백상감은 이를 이용한 장식기법으로 음각 후 메운 화장토를 세밀하게 긁어내어 음각한 틈에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이다. 백상감은 매우 정교한 기법 중에 하나이다. (2) 흑상감 붉은 산화철이 많이 함유된 붉은 토는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거치면서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백상감과 같은 방법으로 장식하여 문양을 나타낸다. (3) 철화청자 철화청자는 산화철이 함유된 흑토를 묽게 하여 점..

청자의 발색

 청자의 발색 청자의 점토는 점성이 좋고 백색도도 적당하여 1~2회의 철분 제거를 통해 만들어진다. 섭 씨 1,200도의 높은 온도에서 소성이 되며 청자의 발색에는 녹색 계통과 비색 계통이 있는 데 비색 계통은 회색빛이 감돈다. 회유는 식물을 태운 재를 물에 녹인 후 표면에 바르고 구우면 유리질의 피막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청자의 유약을 만드는 방법은 회유와 같다. 고려청자의 비색은 회유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 진다. 약 3%의 철분, 소량의 망간과 티타늄을 함유한 청자의 유약은 망간과 티타늄의 비율에 따라 녹청자와 비색 청자로 구분 된다. 티타늄보다 망간 성분이 약간 더 많을 때 비색 청자의 색이 나타나며 이는 재벌구이 과정에서 발색기술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1. 진사청자 진사청자는 산화동 안..

청자의 종류와 특징

 청자의 종류와 특징 1. 청자의 종류 (1) 순청자 청자의 태토색인 회청색 외에 다른 색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청자색을 나타내는 말로 순청자라고 부른다. 순청자에는 청자 표면에 문양장식이 거의 없는 소문(素紋) 청자와 성형한 후 음각, 양각으로 투각하거나 연꽃, 죽순 또는 동식물의 형태를 본 떠 만든 상형(象形)청자가 있다. 초기에는 문양을 새기지 않은 소문청자였으나 청자 의 기술수준이 높아지는 10세기 후부터 국화, 연꽃, 대나무, 동물 등 장식문양이 새 겨졌다. (2) 녹청자 녹청자는 태토가 거칠고 유약 표면이 안정되지 못하며 표면색이 청자색이 아니라 녹갈색의 계통을 말한다. 이 때문에 귀족문화인 고려에서 녹청자는 일반 시민이나 지방 호족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3) 상감청자 상감청자의 상..

옹기의 제작 및 장식 디자인

 옹기의 제작 옹기의 제작은 재래식의 기법과 크게 다르지 않은 성형방법으로 이어져 왔다. 바닥판을 만 들고 흙 타래를 둥글게 쌓아 올려 올리는 타래성형과 바닥판에 넓은 흙 판을 올려 제작하 는 타령성형방법이 전승되고 있다.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타렴성형이라 하며 쌓아 올리는 흙의 모양에서 차이는 있으나 점토를 한 층씩 올린 후 타렴 도구에 의해 기물의 두께가 형성되고 표면이 다듬어지는 방식이다. 옹기의 성형 후 표면을 장식하는 주요 무늬나 장식 은 주로 새겨 넣은 파상문과 덧띠무늬 장식인데 점토를 얇은 띠로 덧붙여 장식하는 기법 은 신석기시대부터 옹기제작까지 이어지는 장식이며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에 손가락으로 훑어내려 그려 넣는 파상문의 형태도 삼국시대나 고구려시대부터 사용하던 장식이다. 이와 같은 ..

옹기 소지의 특성

 옹기 점토의 생성 옹기 소지로는 분지 점토나 호성(호수에 퇴적물이 쌓인 토양) 점토, 늪지 점토가 적당하다. 우리나라는 70%가 산지이고 산간에도 크고 작은 분지가 형성되어 분지평야를 이루고 있 다. 이 분지평야에는 분지점토가 매장되어 있고 해안지대에는 호성점토가, 저지대에는 늪 지점토가 매장되어있다. 이러한 점토들은 매장된 지형은 다르지만 점토의 침전상태가 비교 적 비슷하고 성분 또한 비슷하여 거의 옹기 소지로 사용된다. 점토의 생성은 중력에 의하 여 입자가 큰 것부터 먼저 분지나 호수의 변두리에 침전되고 입자가 미세할수록 멀리 내 려가 분지나 호수의 중심부에 침전하게 된다. 이것은 단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연속적으로 침전되는 것이며 변두리에 침전되는 것은 입자가 굵고 모래나 이물질이..

옹기의 종류와 형태의 특징

 옹기의 종류 1. 옹기의 개념 옹기는 도기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도자기의 일종이지만 도기와 자기의 분류개념보다는 붉 게 반짝이는 유약이 입혀진 질그릇을 특정하여 지칭하고 있다. ‘옹기’라는 용어는 저장 용기인 독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효음식을 즐기는 우리 민족은 삼국시대는 물론 그 이전부 터 저장용기로 도기 항아리를 사용해 왔다. 술과 장의 발효용기로 도기가 가장 효과적인 용기로서 사용되었고 그 발효용기의 필요에 의해 한국에서는 도기 항아리의 제작이 지속 되고 발달되어 왔다. 현대에 와서 정착된 옹기에 대한 개념은 저장용기인 대형 도기 항아 리이며 다갈색 유약이 입혀진 시유도기이다. 가마소성시 유약을 바르지 않거나 그을음을 먹인 질그릇, 약토(철분이 다량 함유된 흙)와 나무재(참나무, 소나무, 억새 등)..

토기의 제작 및 장식 디자인

 토기의 제작 토기의 제작은 점토와 성형방법에 의해 형태나 문양 등이 표현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둥근 형태의 원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수작업으로 제작하였을 때나 물레로 제작 하였을 때 대칭의 형태가 성형에 수월하기 때문이다. 토기는 점토를 물과 반죽하여 일정한 수분상태를 유지한 후 전기물레 성형이나 수작업을 위한 손 물레에 흙판을 올리고 밑판의 크기를 정한 후 원형의 대칭형이나 비대칭형으로 제작한다. 토기는 건조 후 약 700℃∼1,000℃ 사이에 유약을 입히지 않은 상태로 소성하여 구워낸 상태를 말한다. 성형 전 밑판의 크기에 따라 제작되는 제품의 크기와 비율이 정해 지므로 디자인하고 스케치하여 예상 제품의 결과를 학습한다. 토기의 성형방법으로는 생활용기를 제작하는 물레성형과 대형제품을 제작하..

토기의 제작 및 장식 디자인

 토기의 제작 토기의 제작은 점토와 성형방법에 의해 형태나 문양 등이 표현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둥근 형태의 원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수작업으로 제작하였을 때나 물레로 제작 하였을 때 대칭의 형태가 성형에 수월하기 때문이다. 토기는 점토를 물과 반죽하여 일정한 수분상태를 유지한 후 전기물레 성형이나 수작업을 위한 손 물레에 흙판을 올리고 밑판의 크기를 정한 후 원형의 대칭형이나 비대칭형으로 제작한다. 토기는 건조 후 약 700℃∼1,000℃ 사이에 유약을 입히지 않은 상태로 소성하여 구워낸 상태를 말한다. 성형 전 밑판의 크기에 따라 제작되는 제품의 크기와 비율이 정해 지므로 디자인하고 스케치하여 예상 제품의 결과를 학습한다. 토기의 성형방법으로는 생활용기를 제작하는 물레성형과 대형제품을 제작하..

토기의 시대적 특징과 종류

 토기의 이해 토기는 저화도 온도인 1,000℃ 이내에서 소성된 상태를 말하며 그릇뿐 아니라 토우나 액세 서리 종류도 포함되기도 한다. 대부분 유약을 입히지 않은 상태로 적갈색 또는 회청색의 빛깔을 나타내게 되며 이는 점토에 포함된 철의 함유량과 소성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소지 로는 장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가 쓰이며 질감이나 용도에 따라 모래질의 사토나 조개 가루, 돌가루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낮은 온도에서 소성되는 결과물로 인하여 다공질이며 대표적으로 화분, 기와, 토관 등이 있다.  토기의 특징 1. 토기의 소성온도 토기는 소성온도에 따라 구분되는데 섭씨 600℃∼700℃에서 소성되는 와질토기와 70 0℃∼900℃에서 소성되는 연질토기, 1,000℃ 이내의 온도에서 구워진 경질토기로..

728x90
반응형
LIST